왕따 경험, 프로그래밍을 독학한 10대 시절의 이야기 오늘은 일론 머스크의 유년기: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의 성장 이야기를 알아보겠습니다
테슬라와 스페이스X의 창립자,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하나인 일론 머스크.
그런 그도 한때는 왕따를 당하며 책 속에 숨었던 내성적인 소년이었습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보낸 유년 시절은 고통스럽고 외로웠지만, 바로 그 시간이 머스크의 독특한 사고방식과 창의력의 뿌리가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의 유년기와 청소년기, 그리고 기술에 눈을 뜨기까지의 성장 과정을 따라가 보겠습니다.
외로움 속에서 자란 소년, 머스크의 어린 시절
일론 머스크는 1971년 남아프리카공화국 프리토리아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머니는 캐나다 출신의 모델이자 영양사인 메이 머스크, 아버지는 남아공 출신의 전기·기계 엔지니어 에롤 머스크였습니다.
어릴 적부터 조용하고 내성적인 성격이었던 그는 또래들과 잘 어울리지 못했고, “항상 머릿속으로 다른 세계에 빠져 있는 아이”로 불렸습니다.
그의 가족은 경제적으로 중산층 이상이었지만, 머스크는 부모의 이혼과 잦은 이사 등 불안정한 환경 속에서 성장했습니다. 특히 아버지와의 관계는 매우 복잡했으며, 머스크는 나중에 그를 “악한 사람”이라고 표현할 만큼 깊은 상처를 받았다고 합니다.
학교 생활은 더 힘들었습니다. 머스크는 체구가 왜소했고 말주변도 없었으며, 특히 공상과 상상을 즐겼기 때문에 왕따와 괴롭힘의 대상이 되기 쉬웠습니다. 심지어 한 번은 계단에서 밀려 떨어져 병원에 입원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머스크는 이 시기에도 무너지지 않았습니다. 그는 현실에서 도피하듯 책을 탐독했고, 하루에 열 시간 이상 책을 읽으며 지식을 쌓았습니다.
이때 읽은 책들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아시모프의 《파운데이션》 시리즈 등 ― 은 그의 상상력과 세계관을 넓히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습니다.
독학으로 컴퓨터를 정복하다: 12세에 첫 프로그램을 만들다
일론 머스크가 컴퓨터를 처음 접한 건 9세 때였습니다. 아버지가 사준 코모도어 VIC-20이라는 초기형 가정용 컴퓨터가 계기였습니다.
그는 설명서 한 권만으로 단기간에 BASIC 프로그래밍 언어를 완전히 독학했습니다.
당시 12세였던 머스크는 스스로 만든 게임 ‘Blastar’를 잡지사에 판매하며 400달러의 수익을 올리게 됩니다.
‘Blastar’는 단순한 우주선 슈팅 게임이었지만, 코드를 혼자서 짰고, 직접 판매까지 한 경험은 머스크에게 큰 자신감을 안겨주었습니다.
이는 “어떤 것도 직접 만들 수 있다”는 창작자의 사고방식으로 이어졌고, 이후 테슬라와 스페이스X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통제하려는 방식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특히 그는 이때부터 이미 다음과 같은 습관을 형성했습니다.
문제를 분해하고 원리부터 이해하려는 태도
게임을 하듯 재미를 느끼는 학습 습관
이론보다 실행을 중시하는 실용주의 사고
그의 이런 학습방식은 후일 퍼스트 프린서플(First Principles) 사고법으로 정교화되어, 로켓 제작비용을 10분의 1로 줄이는 결정적인 전환점을 만들게 됩니다.
즉, 머스크의 기술 천재성은 단지 머리가 좋아서가 아니라, 어릴 적부터 반복적으로 단련된 독학의 습관과 집중력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변방에서 세계로: 머스크가 만든 자신의 탈출 로드맵
머스크는 어린 시절부터 남아공을 ‘갇힌 공간’처럼 여겼습니다.
그는 자유로운 사고와 도전정신을 실현하기 위해 더 넓은 세계를 꿈꿨고, 그 해답은 미국이었습니다.
당시 남아공은 여전히 인종차별의 잔재가 남아 있었고, 군 복무가 의무였기 때문에 머스크는 이를 피하기 위해 캐나다 국적을 가진 어머니를 통해 캐나다로 이주합니다.
17세의 나이에 홀로 캐나다로 떠난 그는 이후 퀸스대학교 → 펜실베이니아대학교 → 스탠퍼드 박사 과정(이틀 만에 중퇴)으로 이어지는 여정을 통해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작하게 됩니다.
하지만 그 출발점은 언제나 ‘나는 여기를 벗어나야 한다’는 내면의 갈망과 상상력이었습니다.
그는 현실이 만족스럽지 않았고, 이를 뛰어넘기 위한 방법을 오직 책과 기술, 자기주도적 사고 속에서 찾았습니다.
결국 이 시기의 머스크가 보여주는 가장 강력한 메시지는 바로 다음과 같습니다.
“세상을 바꾸려면, 먼저 내 세계부터 바꿔야 한다.”
이 말은 단순한 동기부여 문구가 아니라, 직접 행동으로 실현한 이야기이기에 더욱 진실하게 다가옵니다.